타이타닉의 최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타닉의 최후는 1953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타이타닉 호의 침몰을 배경으로 한 가족의 갈등과 사랑을 그린다. 클리프턴 웹, 바바라 스탠윅, 로버트 와그너 등이 출연하며, 상류층 부부의 갈등과 타이타닉 호의 침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과 다른 묘사, 과장된 설정 등으로 인해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RMS 타이타닉을 소재로 한 영화 - 타이타닉 (1997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타이타닉》은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을 배경으로 가난한 화가 잭 도슨과 부유한 귀족 여성 로즈 디윗 부케이터의 비극적인 로맨스를 그린 미국 로맨틱 재난 영화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았고, 아카데미상 11개 부문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 RMS 타이타닉을 소재로 한 영화 - 타이타닉 (미니시리즈)
1996년 제작된 2부작 미니시리즈 《타이타닉》은 이사벨라 파라다인, 앨리슨 가족, 제이미 페르세 등 세 그룹의 등장인물을 통해 타이타닉호 침몰 당시의 이야기를 다루며, 피터 갤러거, 캐서린 제타존스, 조지 C. 스콧 등이 출연했고 프라임타임 에미상 음향 믹싱상을 수상했다. - 191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타이타닉 (1997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타이타닉》은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을 배경으로 가난한 화가 잭 도슨과 부유한 귀족 여성 로즈 디윗 부케이터의 비극적인 로맨스를 그린 미국 로맨틱 재난 영화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았고, 아카데미상 11개 부문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 191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은 1938년을 배경으로, 고고학자 인디아나 존스가 아버지의 실종과 성배를 찾아 나치와 십자군 기사단의 방해를 받으며 모험을 펼치는 영화이다. - 20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정무문 (1972년 영화)
20세기 초 상하이를 배경으로 곽원갑의 죽음에 대한 이소룡의 복수를 그린 정무문은 반일 감정을 자극하는 내용과 화려한 액션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다양한 리메이크작과 후속작에 영향을 준 이소룡의 대표적인 홍콩 액션 영화이다. - 20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샤인 (영화)
영화 《샤인》은 엄격한 아버지의 학대와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던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헬프갓가 정신 병원에서 퇴원 후 음악가로 성공적인 복귀를 이루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타이타닉의 최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itanic |
감독 | 진 네글레스코 |
제작자 | 찰스 브래킷 |
각본 | 찰스 브래킷 리처드 L. 브린 월터 라이슈 |
출연 | 클리프톤 웨브 바버라 스탠윅 로버트 와그너 오드리 달턴 윌리엄 하퍼 카터 셀마 리터 브라이언 아헌 리처드 베이스하트 |
음악 | 솔 카플란 |
촬영 | 조지프 맥도널드 |
편집 | 루이스 R. 로플러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1953년 4월 16일 |
상영 시간 | 98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805,000 달러 |
흥행 수입 | 2,250,000 달러 (미국) |
2. 줄거리
유럽의 부유한 망명자 리처드 스터지스는 바스크 이민자에게 돈을 주고 타이타닉호 3등석 표를 구해 몰래 승선한다. 그는 아내 줄리아가 그들의 두 자녀, 18세 아네트와 13세 노먼을 데리고 미시간주 매키낵 아일랜드로 가서, 현실적인 미국인으로 키우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줄리아는 남편의 뿌리 없는 엘리트주의적 생활 방식에 염증을 느꼈기 때문이다.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 상세 내용이 기술되어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배가 출항을 준비하는 동안, 회사 대표(브루스 이스메이를 모델로 함)는 에드워드 J. 스미스 선장에게 기록적인 속도로 항해할 것을 제안한다.
다른 승객으로는 마가렛 브라운을 모델로 한 노동 계급 출신의 부유한 여성 매드 영, 사회적 야심가 얼 미커, 퍼듀 대학교 테니스 선수인 20세 기포드 "기프" 로저스, 그리고 알코올 중독으로 제적된 가톨릭 사제 조지 힐리 등이 있다.
줄리아가 노먼의 양육권을 주장하자, 격분한 리처드는 노먼이 자신의 친아들이 아님을 밝히고 다시는 보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들은 리처드는 노먼에 대한 어떠한 권리도 포기하겠다고 선언한다. 이후 리처드는 노먼이 함께 셔플보드 게임을 하자고 제안했을 때 냉담하게 거절한다.
한편, 기프는 아네트에게 첫눈에 반하고, 처음에는 퉁명스럽게 대하던 아네트도 점차 마음을 열어 두 사람은 가까워진다. 젊은이들이 식당에서 어울리는 동안, 스미스 선장은 구석 테이블에서 이를 지켜본다.
찰스 라이톨러 부선장은 다른 배들로부터 빙산 경고 메시지를 받았다고 보고하며 속도에 대한 우려를 표하지만, 스미스 선장은 바다가 잔잔하고 항로가 빙산 지대 남쪽에 있다며 안심시킨다. 망루에 망원경이 부족하다는 점도 언급된다.
그날 밤, 망루에서 정면에 빙산을 발견하고 회피를 시도하지만, 배는 빙산에 수선 아래 선체 측면을 들이받혀 침수되기 시작한다. 리처드는 스미스 선장에게 직접 상황을 확인하고, 배가 침몰할 운명이며 모두를 구할 구명정이 부족하다는 비극적인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가족들에게 따뜻하게 옷을 입으라고 당부한다.
리처드와 줄리아는 보트 갑판에서 눈물겨운 화해를 하고, 줄리아와 아네트는 구명정에 오른다. 하지만 노먼은 몰래 구명정 자리를 한 나이 든 여성에게 양보하고 아버지 리처드를 찾아 나선다. 구명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밧줄이 엉키자 기프가 이를 해결하려다 바다에 빠지지만, 의식을 잃은 채 구조되어 구명정에 태워진다.
얼 미커는 여자로 변장해 구명정에 타려다 매드 영에게 신발을 들켜 정체가 탄로나 망신을 당한다. 반면, 조지 힐리 신부는 용기와 이타심을 발휘하여 부상당한 승무원들을 위로하기 위해 보일러실로 내려간다.
배가 침몰하는 마지막 순간, 노먼은 리처드를 찾는다. 리처드는 지나가는 스튜어드에게 노먼이 자신의 "아들"이라고 말하고, 노먼에게는 그의 삶 매 순간이 자랑스러웠다고 고백한다. 두 사람은 다른 승객 및 승무원들과 함께 찬송가 '내 주를 가까이 하려 함은'을 부르며 최후를 맞이한다. 배는 선수부터 가라앉기 시작하여 선미가 하늘로 치솟은 뒤 차가운 바닷속으로 완전히 사라진다.
새벽이 밝아오고, 구명정에 탄 생존자들은 구조를 기다리는 모습으로 영화는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배우 | 역할 | 설명 |
---|---|---|
클리프톤 웹 | 리처드 워드 스터지스 | 유럽 출신의 부유한 망명자. 별거 중인 아내 줄리아와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 타이타닉 호에 탑승한다. 처음에는 냉소적이고 귀족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재난 상황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
바바라 스탠윅 | 줄리아 스터지스 | 리처드의 아내. 남편의 유럽식 가치관에서 벗어나 아이들을 미국 중서부에서 현실적으로 키우고자 미시간주 매키낵 아일랜드로 향한다. |
오드리 달튼 | 아네트 스터지스 | 스터지스 부부의 18세 딸. 처음에는 아버지와 함께 유럽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기프 로저스와 교감하며 변화를 겪는다. |
윌리엄 하퍼 카터 | 노먼 스터지스 | 스터지스 부부의 13세 아들. 순수하고 용감한 소년으로, 나중에 리처드의 생물학적 아들이 아님이 밝혀진다. 침몰 직전 아버지와 감동적인 순간을 맞이한다. |
로버트 와그너 | 기포드 "기프" 로저스 | 퍼듀 대학교의 테니스 선수. 아네트에게 첫눈에 반하며, 적극적으로 다가간다. 위기 상황에서 용감한 행동을 보인다. |
델마 리터 | 모드 영 | 노동 계급 출신이지만 졸부가 된 여성. 솔직하고 거침없는 성격으로, 실존 인물인 마가렛 브라운(몰리 브라운)을 모델로 한다. 위선적인 인물(얼 미커)의 정체를 폭로하기도 한다. |
브라이언 에허른 | 에드워드 J. 스미스 선장 | 타이타닉 호의 선장. 출항 전 회사 대표로부터 빠른 항해를 종용받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
리처드 베이스하트 | 조지 S. 힐리 | 알코올 의존증 문제로 성직에서 물러난 가톨릭 신부.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고 침몰 직전 부상자들을 위로하며 이타적인 모습을 보인다. 실존 인물 토마스 바일스 신부를 모델로 한다. |
앨린 조슬린 | 얼 미커 | 사회적 지위 상승을 갈망하는 야심가. 위기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여자로 변장하는 등 비겁한 행동을 보인다. |
에드먼드 퍼덤 | 찰스 라이톨러 | 타이타닉 호의 2등 항해사. 빙산 위험에 대해 스미스 선장에게 우려를 표한다. |
마이클 레니 | 내레이터 | 영화의 마지막 내레이션을 담당한다. (크레딧 미표기) |
3. 2. 기타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설명 |
---|---|---|
모드 영 | 델마 리터 | 노동 계급 출신의 부유한 여성. 마가렛 브라운을 모델로 한 타이타닉 호의 실존 생존자이다. |
에드워드 J. 스미스 선장 | 브라이언 아언 | 타이타닉 호의 선장. 회사 대표 샌더슨으로부터 기록적인 속도로 항해할 것을 제안받는다. |
조지 S. 힐리 | 리처드 베이스하트 | 알코올 의존증으로 성직에서 추방된 가톨릭 사제. 마지막 순간 부상당한 승무원들을 위로하기 위해 보일러실로 내려간다. 실제 인물 토머스 바일스 신부를 모델로 하였다. |
얼 미커 | 앨린 조슬린 | 사회적 야심가. 구명정에 타기 위해 여자로 변장하지만 모드 영에게 발각된다. |
찰스 라이톨러 2등 항해사 | 에드먼드 퍼덤 | 스미스 선장에게 다른 배로부터 수신된 빙산 경고 메시지와 망루의 망원경 부족 문제를 보고한다. |
샌더슨 | 앤서니 유스트렐 | 타이타닉 호를 소유한 화이트 스타 라인의 브루스 이스메이를 모델로 한 회사 대표. 스미스 선장에게 기록적인 속도 항해를 독려한다. |
샌디 콤스톡 | 제임스 토드 | |
존 제이콥 애스터 4세 | 윌리엄 존스톤 | |
매들린 애스터 | 프랜시스 버겐 | 존 제이콥 애스터 4세의 아내. |
이름 없는 여성 | 메 마시 | 노먼 스터지스가 구명정 자리를 양보하는 나이든 여성. |
윌리엄 맥마스터 머독 1등 항해사 | 배리 버나드 | |
벤자민 구겐하임 | 카밀로 게르치오 | |
조셉 벨 수석 엔지니어 | 해리 코딩 | |
이다 스트라우스 | 헬렌 반 투일 | |
웨스터 씨 | 고든 리처즈 | 의류점 매니저. (크레딧 미기재) |
내레이터 | 마이클 레니 | 영화의 마지막 내레이션을 담당한다. (크레딧 미기재) |
4. 제작
- 세트: 스튜어트 A. 레이스
- 의상: 도로시 지킨스
발터 라이쉬에 따르면, 당시 20세기 폭스의 제작 총괄이었던 대릴 F. 자눅은 라이쉬와 찰스 브래킷을 불러 클리프턴 웹과 계약했고 시네마스코프 기술도 확보했으니 이를 활용한 대작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자눅은 웹을 단순한 코미디 배우가 아닌 진지한 성격 배우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게 하고 싶어했으며, 오드리 달턴이나 로버트 와그너 같은 젊은 배우들도 적극 활용하라고 지시했다.[4]
라이쉬는 자신이 ''타이타닉'' 침몰 사건을 영화 소재로 떠올렸으며, 클리프턴 웹을 타이타닉 호에서 사망한 부유한 승객 중 한 명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영화가 실제 사건에 기반하여 "60%는 진실이며, 완전한 다큐멘터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4] 텔마 리터를 위한 역할도 특별히 만들어졌으며, 알코올 중독에 빠진 신부 캐릭터는 리처드 브린의 아이디어였다고 라이쉬는 덧붙였다.[4]
영화의 공동 작가이자 제작자인 브래킷은 관객들이 믿기 어려울 정도로 비현실적인 이야기들은 각본에서 제외했다고 언론에 밝혔다.[5] 영화의 초기 제목은 ''주여, 당신께 더욱 가까이''였다.[6]
촬영은 1952년 10월 말에 시작되어 같은 해 12월 초에 마무리되었다.
영화 제작에는 약 8.53m 크기의 ''타이타닉'' 모형이 사용되었다. 이 모형은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주 폴 리버에 위치한 배틀쉽 코브 해양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7]
1952년 9월의 한 뉴스 기사에서는 테리 무어가 영화 '타이트로프 위의 남자' 촬영을 제때 마칠 경우, 아네트 스터지스 역으로 출연할 예정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8]
5. 평가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2%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9] ''버라이어티''와 같은 매체는 영화의 긴장감과 몰입도를 높이 평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10] 비평가 폴린 케일 등은 특수 효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11]
한편, 역사학자들은 이 영화가 다수의 역사적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한다.[12] ''타이타닉'' 역사학자 피치, 레이턴, 웜스테드는 영화의 인상적인 특수 효과와 배에 탑승한 듯한 현장감을 재현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광고 내용과는 달리 역사적 정확성은 부족하며 묘사된 사건 대부분이 극적으로 과장되거나 사실과 다르다고 평가했다.[13]
5. 1. 비평가 반응
영화 평점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이 영화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2%의 "신선함" 평점을 받았다.[9]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처음 45분이나 50분이 지나면 임박한 재앙이 상상력을 사로잡고 강력한 기대를 불러일으킨다"고 평했다.[10] 반면, 비평가 폴린 케일은 영화의 특수 효과에 대해 "실제 침몰 장면은 센트럴 파크 연못에서의 해상 비극처럼 보인다"고 쓰며 인상 깊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11]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타이타닉의 최후''가 많은 역사적 부정확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점들이 지적된다.[12]
- 항해 예약: 영화와 달리 처녀 항해는 매진되지 않았으며, 1912년 화이트 스타 라인 기록에 따르면 실제로는 절반 정도만 예약된 상태였다. 린다 콜다우는 "역사적 정확성이 중요한 점이 아니라고 받아들인다면, 이야기가 ''타이타닉''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하게 기능하는 각본이다"라고 덧붙였다.[12]
- 구조: 구조선 카르파티아호는 오전 4시 10분경 현장에 도착하여 해가 뜨기 전에 생존자 구조를 시작했으며, 구조 작업은 수 시간이 걸렸다.
- 스미스 선장의 행동: 영화에서 묘사된 것과 달리, 스미스 선장은 빙산과의 충돌 당시 깨어 있지 않았으며, 그 직후 깨어나 함교로 소환되었다.
- 빙산 충돌: 영화에서는 빙산이 배의 좌현을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무선 통신: ''칼로니아''호에서 온 빙산 경고 무선 통신을 실제로는 무선 통신사 잭 필립스가 스미스 선장이나 다른 장교에게 보여주지 않았지만, 영화에서는 필립스가 스미스 선장과 일등 항해사 찰스 라이톨러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그려진다. 영화 속 인물들은 이 경고가 이전에 ''발틱''호가 보낸 경고와 같은 빙산에 대한 것인지 의아해한다.
- 침몰 중 소음: 탈출하는 동안 배가 지속적으로 증기 호각을 울리고 화재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침몰 중에는 호각이나 화재 경보가 울리지 않았다.
- 악단 연주곡 및 캘리포니안호: 영화 제작진은 ''타이타닉''호 악단이 ''런던데리 에어''와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남은 승객들이 함께 부름)을 연주하도록 결정했으며, 그 운명의 밤에 실제 ''타이타닉''호 근처에 있었던 ''캘리포니안호''는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
''타이타닉'' 역사학자 피치, 레이턴, 웜스테드는 이 영화가 인상적인 특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배에 탑승한 느낌을 재현한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광고에서 주장한 것과는 달리, 영화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으며 묘사된 대부분의 사건은 극적으로 과장되거나 단순히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한다.[13]
5. 2. 역사적 정확성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영화가 역사적 부정확성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여긴다. 예를 들어, 타이타닉호의 처녀 항해는 매진되지 않았으며, 1912년 화이트 스타 라인 기록에 따르면 실제로는 절반 정도만 예약되었다. 린다 콜다우는 "''타이타닉''은 매진과는 거리가 멀었고, 추가 승객은 쉽게 1등석 티켓을 구매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 정확성이 중요한 점이 아니라고 받아들인다면, 이야기가 ''타이타닉''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하게 기능하는 각본이다"라고 평가했다.[12]또한, 구조선 카르파티아호는 오전 4시 10분경 현장에 도착하여 해가 뜨기 전에 생존자들을 구조하기 시작했지만, 영화에서는 새벽에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영화와 달리, 스미스 선장은 빙산과의 충돌 당시 깨어 있지 않았으며, 충돌 직후 깨어나 함교로 소환되었다. 영화에서는 빙산이 배의 좌현을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우현에 충돌했다.
칼로니아호에서 보낸 무선 통신이 항로 앞쪽의 빙산을 ''타이타닉''호에 경고했지만, 무선 통신사 잭 필립스는 이 메시지를 스미스 선장이나 다른 장교에게 전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필립스가 스미스 선장과 찰스 라이톨러 일등 항해사에게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오며, 그들은 이전에 ''발틱''호로부터 받은 무선 통신에서 경고했던 빙산과 같은 것인지 의아해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 속 탈출 장면에서는 배가 지속적으로 증기 호각을 울리고 화재 경보를 울리지만, 실제 침몰 중에는 호각이나 화재 경보가 울리지 않았다.
영화 제작진은 ''타이타닉''호의 악단이 ''런던데리 에어''와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남은 승객들이 함께 부름)을 연주하도록 설정했으며, 실제 ''타이타닉''호 근처에 있었던 ''캘리포니안호''는 영화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타이타닉'' 역사학자 피치, 레이턴, 웜스테드는 이 영화가 인상적인 특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배에 탑승한 느낌을 재현한다고 평가하면서도, 광고 내용과는 달리 영화가 그다지 정확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묘사된 대부분의 사건은 극적으로 과장되거나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13] 침몰 사고가 일어난 1912년에 발표된 미국 의회 및 영국 상무성의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선체가 절단되지 않고 하나의 거대한 구멍으로 침수되며 보일러가 증기 폭발을 일으키는 등, 이후에 밝혀진 사실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 또한, 사료에 따르면 악단은 현악기 위주였지만, 영화에서는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성된 브라스 밴드로 설정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Definitive Titanic Film: A Night to Remember
2003
[2]
서적
Twentieth Century 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The Scarecrow Filmmakers Series)
Scarecrow Press
1989
[3]
뉴스
The Top Box Office Hits of 1953
Variety
1954-01-13
[4]
서적
Backstory 2: Interviews with Screenwriters of the 1940s and 1950s.
http://publishing.c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5]
뉴스
Says Movie of Titanic Sinking To Show Heroism of Victims
Southeast Missourian
1952-10-02
[6]
뉴스
Dall Understudy Wins Starring Break; Arthur, Wagner Brightly Cast
Los Angeles Times
1952-10-01
[7]
웹사이트
Maritime Museum at Battleship Cove
https://www.battlesh[...]
[8]
뉴스
Terry Moore Has Grown Up
Pittsburgh Press
1952-09-27
[9]
웹사이트
Titanic (1953)
https://www.rottento[...]
2018-06-28
[10]
웹사이트
Titanic
https://www.variety.[...]
2010-01-04
[11]
웹사이트
"Pauline Kael reviews on geocities"
http://www.geocities[...]
2013-05-21
[12]
서적
The Titanic on Film: Myth versus Truth
McFarland
2012
[13]
서적
On a Sea of Glass. The Life & Loss of the RMS Titanic
Amberley, Stroud
2015
[14]
서적
The Definitive Titanic Film: A Night to Remember
2003
[15]
웹사이트
タイタニックの最期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19-01-03
[16]
웹사이트
タイタニックの最期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19-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